[보도자료] 양대 손해보험사 삼성화재·현대해상, 탈석탄 정책에 여전히 미진해

보도자료


양대 손해보험사 삼성화재·현대해상탈석탄 정책에 여전히 미진해


15일 삼성화재·현대해상 ESG 보고서 발표…소극적인 탈석탄 정책, 여전히 숙제

“국내 보험사들도 발 빠르게 글로벌 스탠다드에 준하는 정책 수립해야 해”

국내 손해보험사 중 업계 1위와 2위를 자랑하는 삼성화재해상보험(이하 삼성화재)와 현대해상화재보험(이하 현대해상)이 탈석탄 정책에서 다시 한번 아쉬움을 남겼다. 삼성화재와 현대해상은 지난 15일 업데이트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정책을 발표했다. 이날 발표된 두 보고서 모두 석탄 프로젝트에 대한 기존 보험 인수를 제한하는 정책 등 주요 탈석탄 정책 업데이트를 포함하지 않았다. 이로써 국내 양대 손해보험사 두 곳 모두 기후 금융의 관점에서 글로벌 스탠다드에 매우 뒤처졌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게 됐다.

보고서 발표에 앞서 삼성화재와 현대해상은 석탄화력발전소 건설 및 운영 보험에 대한 신규 인수를 하지 않겠다는 정책만 갖고 있었다. 석탄화력발전소에 제공하고 있는 기존 운영 보험을 제한하는 정책은 부재했다. 이미 보험 인수 중인 석탄 프로젝트에는 전혀 대처하지 않는 다소 수동적인 탈석탄 정책이었다. 이번 보고서에서 더욱 적극적인 방향으로 업데이트되리라 기대됐지만, 두 보험사 모두 제자리걸음이었다.

석탄은 화석연료 중에서도 온실가스를 가장 많이 배출해 기후위기의 주범으로 손꼽힌다. 유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패널 협의체(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신규 석탄 프로젝트를 금지하고, 나아가 기존 석탄화력발전소를 조기 폐쇄해야 한다고 경고한 바 있다.

이 같은 흐름 속에서 전 세계 주요 보험사들은 석탄 프로젝트 보험 시장에서 철수하고 있다. 프랑스 악사(AXA), 독일의 알리안츠(Allianz) 등 글로벌 보험사들은 이미 석탄 프로젝트에 대한 신규 보험뿐 아니라 기존 보험 갱신을 제한하는 정책을 세워 이행하고 있다.선진적 정책을 마련한 보험사들은 석탄 사업으로 일정 기준 이상 매출이 발생하는 기업을 ‘석탄 기업’으로 분류하고 보험 인수를 제한한다. 일본의 대형 손해보험사인 솜포(Sompo) 역시 지난 6월 2025년까지 온실가스 감축 계획을 수립하지 않은 석탄 기업에 대해 보험 제공을 중단하겠다고 선언했다.

삼성화재와 현대해상의 탈석탄 금융 정책을 자세히 짚어보면 글로벌 스탠다드에 비해 부족하다는 걸 알 수 있다. 삼성화재는 석탄 발전 및 채굴 관련 매출 비중이 30%를 넘는 회사는 투자에서 배제한다는 정책을 갖고 있지만, 이는 전 세계적으로 널리 활용되고 있는 글로벌 탈석탄 리스트 기준(Global Coal Exit List, GCEL)이 제시하고 있는 20% 기준에 비해 느슨한 수준이다. 현대해상은 석탄 기업에 대한 기준조차 부재하다. 또한, 두 보험사 모두 석탄 산업의 범위를 석탄의 생산과 유통, 소비에 이르는 가치사슬 전체로 정의하지 않고 발전소와 광산에만 제한해서 적용한다는 한계를 갖는다.기후솔루션 한수연 연구원은 “기후변화와 그에 따른 자연재해, 사회적 손실은 보험 업계에 특히 큰 위험으로 작용한다. 기후변화 야기된 자연재해로 인한 경제적 손실은 매년 5~7% 증가하고 있으며, 지난 30년 동안 보험 손실은 250% 증가했다”라며 “보험사의 석탄 정책은 이제 미래 지향적인 사업 관리의 지표가 됐다. 국내 손해보험사의 간판 역할을 하는 삼성화재와 현대해상은 기후변화의 위험을 제대로 인지하고, 발 빠르게 글로벌 스탠다드에 준하는 정책을 수립해야 한다”라고 말했다. 

기후솔루션 커뮤니케이션 담당 김원상, wonsang.kim@forourclimate.org, 010-2944-2943

보도자료는 홈페이지(http://www.forourclimate.org) 뉴스룸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